Ceramic Printing

Weaving Vase

Eznihs 2021. 9. 28. 21:44

시작

이 프로젝트는 3d potter 프린터로 오프닝(구멍)을 어떻게 하면 만들 수 있는가? 에서 출발하였다.

3d potter랑 구멍이랑 무슨 연관이 있는지 궁금할지도 모른다. 3d potter의 도자용 프린터는 아래 사진 처럼 생겼다.

3d potter scara (https://3dpotter.com/)

이 프린터는 로봇 팔처럼 생긴 구조가 점토가 들어간 실린더를 잡고 움직이는 형태이다.

  • 장점으로는 기물을 프린팅하는 위치가 자유롭고(프린터의 가동 범위안이면), 출력물의 크기가 크며, 실린더에 적제되는 소지의 양이 많고, 에어프레셔 없이 모터가 소지를 밀어주면서 실린더에서 바로출력이 되기 때문에 좀 더 간단한 구조이다. 
  • 단점으로는 점프를 할 수 가 없다. 점프라는 것은 A지점에서 프린트하다가 멈추고 B지점으로 옮겨가 다시 프린트하는 것이다.

점프가 가능한 프린터들의 경우 익스트루더(점토가 나오면서 출력되는 부분)에 모터에 연결된 오거 비트가 달려있다. 이 오거 비트가 점토를 밀어주거나 끌어올리면서 프린팅을 멈췄다가 다시 시작하는 것을 조절한다.

Wasp Delta Clay Printer /  Vormvrij extruder (www.3dwasp.com / vormvrij.nl)

이런 구조의 프린터들은 점프가 가능하여 쉽게 프린팅 면에 오프닝이나, 여러개로 갈라지는 면, 각기 독립된 오브젝트를 출력 할 수가 있다. 즉 이 프로젝트에서 쓰인 3d potter의 프린터는 점프를 하기가 어렵다.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테스트해보니 쉽지 않았다. 실린더 끝에 위의 사진과 같은 익스트루더를 장착하면 가능하지만 3d potter의 프린터를 경기공예창작지원센터에서 빌려서 사용하는 중이기 때문에 개조하지 않기로 했다. 점프 없이 연속적인 프린팅 패스를 이용해서 오프닝을 만드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 였다. 

 이 프린터를 이용해서 오프닝을 도자기 표면에 만든 아티스트들은 많이 있어서 방법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연속적인 프린팅에서 오프닝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한정적이었다. 문제는 국내의 소지(점토)는 해외의 점토와 달리 좀더 내추럴에 가까운 상태이다. 도예에 대해 잘 모르지만 이번에 멘토님을 통해서 알게 된것은 국내산 소지는 청자토, 백자토, 산백토 등 색이나 도자기 종류에 따라 나눠진다. 하지만 이들의 자세한 성분을 알기 어렵고 매년 달라진다고 한다. 이유는 흙을 파는 광을 만들어도 1년이면 소진되고 그 후 다른곳을 파면 성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점토에 들어있는 성분들의 비율이 데이터로 잘 나와있고 배합의 종류도 많다. 3d 프린팅에 적합한 점토의 비율에 대한 데이터는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그 성분들을 구해서 배합하기가 까다로웠다. 그래서 구하기 쉬운 국내산 점토를 쓰기로 했는데 프린트해보니 점토가 형태를 유지하는 힘, 점성이 해외의 점토보다 부족했다.

3d clay printer에 맞는 점토를 사용했을 때는 아래 주소의 동영상에 나오는 프린팅도 가능하다

https://youtu.be/zbS_wq_kVlM


디자인

 

초기 디자인 랜더링

 초기의 디자인은 커브가 교차하면서 작은 구멍들을 표면에 만드는 패턴이었다.

하지만 커브들끼리 서로 잘 붙지 않거나
위 레이어가 흘러내려 구멍을 막아버렸다 (청자토, 산청토, 블랙마운틴)

그래서 흘러내리는 부분을 아래 레이어에서 받쳐줄 수 있도록 디자인을 변경해야만 했다.

아래 커브들이 위로 오라가면서 서로 만나는 지점이 생기고 그 지점에서 역방향의 커브가 시작된다.
Printing Profile_ top view
Printing Profile_ Iso View
1차 결과물

 

결론

1차 프린트 결과 만족스럽지만 너무 돌출된 부분이 많아 전체의 형태가 잘 느껴지지 않았다. 구멍의 크기는 커서 좋았지만 질서가 없어 보인다. 다음에는 패턴1, 2를 각각 4개의 레이어로 해서 커브의 높이를 줄이고 돌출되는 거리도 8에서 7정도로 줄여봐야겠다. 그리고 image sampler의 곱셈값도 2.5에서 1.5로 줄여봐야겠다. 

아무튼 1차 프린트는 20cm 까지 출력에 성공하였다.

 

'Ceramic Pri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Clay Printer Nozle V2.0  (0) 2023.11.01
노즐크기, 레이너 너비,레이어 높이 관계  (0) 2021.09.05
G-Code  (0) 2021.08.27